새로운 업데이트

TFF 멤브레인 플러싱(Flushing)의 모든 것

 

TFF 멤브레인 플러싱(Flushing)의 모든 것

바이오 공정에서 단백질, 항체, 바이러스와 같은 생물학적 물질을 농축하고 정제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 중 하나는 바로 TFF(Tangential Flow Filtration)입니다. 이 공정의 핵심은 멤브레인이며, 멤브레인이 최적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플러싱(Flushing)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플러싱은 단순히 멤브레인을 세척하는 것을 넘어, 공정의 효율성, 생산성, 그리고 재현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TFF 멤브레인의 플러싱 조건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루고,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사례와 함께 최적의 플러싱 전략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TFF 멤브레인 플러싱의 중요성

TFF 공정에서 멤브레인은 분자량, 크기 또는 전하에 따라 물질을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멤브레인 표면에는 목표 물질이나 불순물들이 쌓여 ‘파울링(Fouling)’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멤브레인의 투과 유량(Permeate Flux)이 감소하고 분리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플러싱은 이러한 파울링을 제거하고 멤브레인을 다음 공정 또는 보관을 위해 준비하는 과정입니다.

효과적인 플러싱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져옵니다.

  • 공정 효율성 증대: 파울링을 제거하여 멤브레인의 투과 유량을 복원하고 공정 시간을 단축합니다.

  • 생산성 향상: 멤브레인의 수명을 연장시켜 재사용 횟수를 늘리고, 소모품 비용을 절감합니다.

  • 공정 재현성 확보: 일관된 멤브레인 성능을 통해 배치 간 품질 편차를 최소화합니다.

  • 안전성 및 규제 준수: 잔류 불순물을 제거하여 최종 제품의 순도를 높이고,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규제를 충족시킵니다.

TFF 멤브레인 플러싱의 기본 원리

플러싱은 크게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진행됩니다. 첫 번째는 공정 간에 멤브레인 내부에 남아있는 물질(단백질, 버퍼 등)을 제거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 파울링을 화학적으로 세척하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 목적에 따라 플러싱 조건이 달라집니다.

플러싱에 사용되는 용액은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정제수(Purified Water), 초순수(Deionized Water) 또는 사용했던 버퍼 용액입니다. 이 외에도 특정 파울링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산(Acid), 염기(Base), 계면활성제(Surfactant) 등을 포함하는 CIP(Clean-In-Place) 용액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플러싱 조건의 핵심 변수

성공적인 TFF 멤브레인 플러싱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변수를 최적으로 제어해야 합니다. 이 변수들은 멤브레인의 재질, 공정 규모, 그리고 파울링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1. 플러싱 유속 (Flow Rate)

플러싱 유속은 멤브레인 채널 내부의 전단력(Shear Force)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유속이 너무 낮으면 파울링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고, 너무 높으면 멤브레인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공정 유속과 유사하거나 약간 높은 유속을 사용하며, 특정 파울링이 심한 경우 맥동 유동(Pulsatile Flow)을 적용하여 전단력을 높이기도 합니다.

  • 일반적인 권장 사항: 공정 유속의 1.2~1.5배

  • 실제 사례: 한 바이오의약품 제조사는 mAb(단일클론항체) 농축 공정 후 멤브레인 플러싱 시, 공정 유속 300 LMH(Liters per square meter per hour)를 유지하며, 플러싱 시에는 400 LMH로 유속을 높여 멤브링 표면의 단백질 잔류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합니다.

2. 플러싱 압력 (Pressure)

플러싱 압력은 크게 TMP(Transmembrane Pressure)와 입구/출구 압력(Inlet/Outlet Pressure)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TMP: 플러싱 시에는 TMP를 낮추거나 0에 가깝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높은 TMP는 멤브레인 내부로 파울링 물질을 밀어 넣어 오히려 파울링을 더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입구/출구 압력: 플러싱 용액이 멤브레인 전체를 균일하게 통과하도록 압력을 조절해야 합니다. 입구 압력과 출구 압력의 차이(Differential Pressure)를 통해 유속을 제어합니다.

3. 플러싱 용액의 pH

플러싱 용액의 pH는 파울링 물질의 특성에 따라 매우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단백질의 경우, 등전점(pI)에서 용해도가 가장 낮아 침전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플러싱 시에는 단백질의 pI를 피하고, 산성(낮은 pH) 또는 염기성(높은 pH) 용액을 사용하여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용해도를 높여 제거합니다.

  • 단백질 제거: 0.1M NaOH (pH 13-14) 또는 0.1M HCl (pH 1-2) 용액 사용

  • 실제 사례: 제넨텍(Genentech)은 자사의 항체 공정에서 TFF 멤브레인 세척을 위해 0.5M NaOH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13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단백질 파울링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있습니다. (출처: Bioprocess Technology Group, Genentech Inc.)

4. 플러싱 온도 (Temperature)

온도는 용액의 점도와 용해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용액의 점도가 낮아져 멤브레인 채널 내 유속이 원활해지고, 파울링 물질의 용해도가 증가하여 제거 효율이 높아집니다. 하지만 너무 높은 온도는 멤브레인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멤브레인 제조사의 권장 온도 범위를 준수해야 합니다.

  • 일반적인 권장 사항: 25~40℃

  • 특정 사례: 바이러스 여과 공정에서는 멸균 목적으로 80℃ 이상의 고온 플러싱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는 특수 내열성 멤브레인에 한정됩니다.

5. 플러싱 시간 및 주기

플러싱 시간은 파울링 물질의 양과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짧은 시간의 플러싱은 불충분한 세척으로 이어지고, 너무 긴 시간은 비효율적입니다. 공정 배치(Batch) 종료 후 또는 일정한 간격(예: 10 배치 후)으로 플러싱을 수행하는 주기적인 접근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 단계별 플러싱:

    1. 초기 헹굼(Pre-rinse): 정제수 또는 버퍼로 공정 물질을 10~20분간 제거

    2. 화학적 세척(Chemical Clean): CIP 용액으로 30~60분간 순환 세척

    3. 최종 헹굼(Final Rinse): 정제수로 CIP 용액 잔류물을 완전히 제거

TFF 멤브레인 플러싱의 유형

플러싱은 목적과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일반 플러싱 (Normal Flush)

공정 종료 후 다음 공정을 위해 멤브레인 내부의 공정 용액(단백질, 버퍼 등)을 단순히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정제수나 버퍼를 사용하여 저압 및 적정 유속으로 순환시킵니다.

2. 역방향 플러싱 (Back Flushing)

멤브레인의 투과 방향(Permeate side)에서 역방향으로 플러싱 용액을 흘려보내는 방식입니다. 멤브레인 기공 내부에 쌓인 파울링 물질을 효과적으로 밀어내어 제거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3. CIP (Clean-In-Place) 플러싱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심각한 파울링을 제거하기 위한 화학적 세척 과정입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pH, 온도, 화학 물질 농도를 최적화하여 진행합니다.

플러싱 유형목적사용 용액주요 특징
Normal Flush공정 잔류물 제거정제수, 버퍼공정 직후, 저압, 저유속
Back Flushing기공 내 파울링 제거정제수, 버퍼역방향 흐름, 순간적인 고압
CIP Flush화학적 파울링 제거산/염기 용액, 계면활성제pH, 온도, 시간 최적화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플러싱 전략 수립

효과적인 플러싱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1. 공정 특성 분석: 공정 물질(단백질, 바이러스 등)의 특성, 공정 유속, pH, 온도 등을 고려하여 멤브레인 파울링의 원인을 파악합니다.

  2. 멤브레인 특성 확인: 멤브레인의 재질(PVDF, PES, Ceramic 등), 분자량 컷오프(MWCO), 내화학성 및 내열성을 확인하고, 제조사의 권장 조건을 준수합니다.

  3. 파일럿 테스트: 실제 공정 조건과 유사한 파일럿 스케일에서 다양한 플러싱 조건을 테스트하여 최적의 조건을 도출합니다.

  4. 세척 유효성 평가: 세척 후 멤브레인의 투과 유량(Flux) 회복률, 단백질 잔류량(TOC, Total Organic Carbon) 등을 측정하여 플러싱의 유효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합니다.

일례로, 머크(Merck)는 백신 생산 공정에서 TFF 멤브레인의 수명 연장을 위해 공정 종료 후 CIP 세척을 표준화했습니다. 세척 용액으로 1M NaOH를 40℃에서 1시간 동안 순환시키고, 이후 정제수로 충분히 헹구는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멤브레인 재사용 횟수를 10회 이상으로 늘려 공정 효율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출처: Merck KGaA, Bioprocess Solutions Division)

TFF 공정의 성공을 위한 필수 전략

TFF 멤브레인의 플러싱은 단순한 세척 과정이 아닙니다. 이는 바이오 공정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제품의 품질 및 재현성을 확보하는 핵심적인 전략적 공정입니다. 최적의 플러싱 조건을 찾기 위해서는 공정 물질의 특성, 멤브레인의 종류, 그리고 다양한 조건(유속, 압력, pH, 온도)의 상호작용을 면밀히 분석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 제시된 플러싱 원리와 조건들은 TFF 공정을 최적화하고자 하는 모든 바이오 공정 전문가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입니다.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평가를 통해 자신만의 최적화된 플러싱 프로토콜을 구축하는 것이 TFF 공정 성공의 지름길입니다.

핫 토픽

PUPSIT : FDA 최신 규제 동향, 무균 공정의 새로운 표준을 향한 길

필터 무결성 시험 (Filter Integrity Test) 심층 분석, 종류와 특징 비교

TFF 필터 멤브레인 보관 방법 및 조건 총정리

바이오의약품 품질 보증의 핵심: PUPSIT과 Flaw Masking

바이오 공정에서의 AI 활용, 디지털 기술이 바꾸는 바이오 산업

PDA의 오염 관리 전략(Contamination Control Strategy, CCS) 완벽 해부

바이오 공정에서 CIP란? – 개념부터 적용까지 완벽 정리

PAT, Process Analytical Technology : 공정 분석 기술과 바이오리액터 센서

바이오 공정의 핵심, 클라리피케이션 POD 뎁스 필터 시료 회수 전략 비교 분석

AI 공정 최적화 사례 3가지|제약 공정 수율 개선부터 배치 예측, 스마트 생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