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업데이트

TFF 멤브레인 플러싱(Flushing)의 모든 것

이미지
  TFF 멤브레인 플러싱(Flushing)의 모든 것 바이오 공정에서 단백질, 항체, 바이러스와 같은 생물학적 물질을 농축하고 정제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 중 하나는 바로 TFF(Tangential Flow Filtration)입니다. 이 공정의 핵심은 멤브레인이며, 멤브레인이 최적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플러싱(Flushing)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플러싱은 단순히 멤브레인을 세척하는 것을 넘어, 공정의 효율성, 생산성, 그리고 재현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TFF 멤브레인의 플러싱 조건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루고,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사례와 함께 최적의 플러싱 전략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TFF 멤브레인 플러싱의 중요성 TFF 공정에서 멤브레인은 분자량, 크기 또는 전하에 따라 물질을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멤브레인 표면에는 목표 물질이나 불순물들이 쌓여 ‘파울링(Fouling)’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멤브레인의 투과 유량(Permeate Flux)이 감소하고 분리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플러싱은 이러한 파울링을 제거하고 멤브레인을 다음 공정 또는 보관을 위해 준비하는 과정입니다. 효과적인 플러싱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져옵니다. 공정 효율성 증대: 파울링을 제거하여 멤브레인의 투과 유량을 복원하고 공정 시간을 단축합니다. 생산성 향상: 멤브레인의 수명을 연장시켜 재사용 횟수를 늘리고, 소모품 비용을 절감합니다. 공정 재현성 확보: 일관된 멤브레인 성능을 통해 배치 간 품질 편차를 최소화합니다. 안전성 및 규제 준수: 잔류 불순물을 제거하여 최종 제품의 순도를 높이고,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규제를 충족시킵니다. TFF 멤브레인 플러싱의 기본 원리 플러싱은 크게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진행됩니다. 첫 번째는 공정 간에 멤브레인 내부에 남아있는 물질(단백질, 버퍼 등)을 제거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 ...

바이오공정의 핵심, 크로마토그래피 레진(Chromatography Resin)의 모든 것

 

바이오공정의 핵심, 크로마토그래피 레진(Chromatography Resin)의 모든 것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정에서 크로마토그래피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정제 기술입니다. 특히, 세포 배양액으로부터 목적 단백질을 고순도로 분리하는 데 필수적이며, 이 과정의 효율과 경제성을 좌우하는 것이 바로 크로마토그래피 레진(Chromatography Resin)입니다. 레진은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선택되며, 그 종류와 성능에 따라 공정의 전체적인 생산성과 품질이 결정됩니다.

본 글에서는 바이오공정 전문가의 관점에서 크로마토그래피 레진의 주요 종류와 그 선택 기준, 각 레진의 장단점, 그리고 실제 공정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내용을 다루고자 합니다. 이 정보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생산에 종사하는 실무자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에 관심 있는 모든 분들이 공정 최적화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크로마토그래피 레진의 주요 종류와 원리

바이오의약품 정제에 사용되는 크로마토그래피 레진은 분리 메커니즘에 따라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각 레진은 목적 단백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전하, 크기, 소수성, 특이적 결합력 등)을 이용하여 불순물로부터 분리해 냅니다.

1.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레진 (Affinity Chromatography Resin)

친화성 레진은 표적 단백질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리간드(ligand)를 표면에 고정시킨 레진입니다. 항체 정제에 주로 사용되는 프로틴 A (Protein A) 레진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프로틴 A는 항체의 Fc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높은 순도로 항체를 포획합니다.

  • 원리: 특정 리간드와 표적 물질 간의 생물학적 친화력을 이용합니다.

  • 장점:

    • 높은 선택성 및 순도: 다른 정제법으로는 얻기 어려운 매우 높은 순도의 단백질을 한 번에 얻을 수 있습니다.

    • 강력한 결합력: 표적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포획하여 높은 회수율을 보장합니다.

  • 단점:

    • 높은 비용: 레진 가격이 매우 비싸고, 리간드의 안정성이 낮아 수명이 짧을 수 있습니다.

    • 특정 물질에만 적용 가능: 보편적인 분리가 어렵고, 각 표적 물질에 맞는 리간드를 개발해야 합니다.

2.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레진 (Ion Exchange Chromatography Resin)

이온 교환 레진은 레진 표면에 고정된 전하와 단백질의 전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분리합니다. pH와 염 농도를 조절하여 단백질의 전하를 변화시키고, 이를 통해 레진에 결합하거나 용출되도록 유도합니다.

  • 원리: 단백질의 표면 전하를 이용합니다. 양이온 교환 (Cation Exchange) 레진은 음전하를 띠는 레진으로 양전하를 띠는 단백질과 결합하며, 음이온 교환 (Anion Exchange) 레진은 양전하를 띠는 레진으로 음전하를 띠는 단백질과 결합합니다.

  • 장점:

    • 높은 분리능: pH와 염 농도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분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비교적 저렴한 비용: 친화성 레진에 비해 경제적이며, 수명이 길어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 단점:

    • 낮은 선택성: 표적 단백질과 비슷한 전하를 가진 불순물과 함께 용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넓은 버퍼 범위: 다양한 버퍼를 사용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3.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 레진 (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Resin, HIC)

HIC 레진은 단백질 표면의 소수성(hydrophobicity)을 이용해 분리합니다. 높은 염 농도에서 단백질의 소수성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레진에 결합시키고, 염 농도를 낮추면서 소수성이 약한 단백질부터 순차적으로 용출시킵니다.

  • 원리: 단백질의 소수성 영역과 레진의 소수성 리간드 간의 상호작용을 이용합니다.

  • 장점:

    • 단백질의 활성 유지: 단백질 변성 없이 분리가 가능합니다.

    • 고염 버퍼 사용: 고염 환경에서 결합하므로 이온 교환 단계 이후에 바로 적용하기 용이합니다.

  • 단점:

    • 낮은 분리능: 이온 교환이나 친화성 레진에 비해 분리능이 낮을 수 있습니다.

    • 높은 염 농도 버퍼: 대량의 염을 처리해야 하므로 후속 공정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혼합 모드 크로마토그래피 레진 (Mixed-Mode Chromatography Resin)

혼합 모드 레진은 두 가지 이상의 분리 메커니즘을 하나의 레진에 통합한 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소수성 상호작용과 이온 교환을 동시에 이용해 분리능을 극대화합니다.

  • 원리: 이온 교환, 소수성 상호작용 등 두 가지 이상의 상호작용을 동시에 활용하여 분리합니다.

  • 장점:

    • 매우 높은 분리능: 기존 레진으로는 분리가 어려운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 간소화된 공정: 여러 단계를 하나의 컬럼으로 대체하여 공정을 간소화하고 생산성을 높입니다.

  • 단점:

    • 복잡한 공정 개발: 최적의 조건(pH, 염 농도 등)을 찾는 것이 어렵습니다.

    • 높은 가격: 일반적인 레진에 비해 가격이 비쌉니다.

레진 선택 기준 및 주요 고려 사항

성공적인 바이오공정 개발은 적절한 크로마토그래피 레진을 선택하는 데서 시작됩니다. 다음은 레진 선택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들입니다.

1. 표적 물질의 특성

  • pI (등전점):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레진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표적 단백질의 pI를 기준으로 버퍼의 pH를 설정하여 레진에 결합시킬지 결정합니다.

  • 분자량: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C) 레진 선택 시 중요합니다.

  • 소수성: HIC 레진 선택의 핵심 기준입니다.

2. 공정 요구 사항

  • 생산 규모: 실험실 규모에서는 고가의 고성능 레진을 사용할 수 있지만, 대량 생산 공정에서는 비용 효율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 요구 순도: 최종 제품의 요구 순도에 따라 1차 정제(Capture), 중간 정제(Intermediate), 최종 정제(Polishing) 단계별로 다른 레진을 사용합니다.

  • 처리 용량 (Capacity): 레진 1L당 처리할 수 있는 표적 단백질의 양을 의미하며, 공정 경제성을 결정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3. 레진 자체의 특성

  • 매트릭스 강도: 고유량 공정에서 컬럼 패킹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최근에는 고유량에 적합한 단단한 합성 폴리머 기반 레진이 많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 화학적 안정성: 세척(Cleaning-in-Place, CIP) 과정에 사용되는 산, 염기 용액에 대한 내구성을 의미합니다. 수명이 길수록 공정의 경제성이 높아집니다.

  • 비특이적 흡착: 표적 물질이 아닌 불순물이 레진에 흡착되는 현상으로, 순도와 회수율에 영향을 미칩니다.

구분친화성이온 교환소수성 상호작용혼합 모드
분리 원리특이적 결합전하 상호작용소수성 상호작용복합 상호작용
주요 용도1차 정제1, 2차 정제2, 3차 정제2, 3차 정제
순도매우 높음높음보통매우 높음
비용매우 높음낮음보통높음
공정 개발쉬움보통보통어려움
재사용제한적용이용이용이

실제 바이오공정 적용 사례 및 시장 동향

크로마토그래피 레진 시장은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성장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조사로는 Cytiva (사이티바), Merck KGaA (머크), Thermo Fisher Scientific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등이 있으며, 이들은 끊임없이 혁신적인 레진을 개발하여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1. 단일클론항체(mAb) 생산 공정의 표준 플랫폼

단일클론항체는 오늘날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바이오의약품입니다. 항체 정제 공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3단계 플랫폼으로 구성됩니다.

  • 1단계 (Capture): 세포 배양액으로부터 항체를 포획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Protein A 친화성 레진이 표준으로 사용됩니다. Cytiva의 MabSelect SuRe™ 레진은 우수한 알칼리 안정성과 결합능으로 항체 정제 공정의 경제성을 크게 개선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 2단계 (Intermediate): Protein A 컬럼 통과액에 남아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입니다. 양이온 교환 또는 혼합 모드 레진이 주로 사용됩니다.

  • 3단계 (Polishing):): 최종 순도를 높이고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입니다. 음이온 교환 또는 HIC 레진을 사용하여 불순물과 응집체를 분리합니다.

2. 혼합 모드 레진의 활용 증가

기존의 3단계 공정을 2단계로 간소화하려는 노력이 지속되면서 혼합 모드 레진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Bio-Rad Laboratories의 CHT (Ceramic Hydroxyapatite)는 칼슘과 인산염으로 이루어진 혼합 모드 레진으로, 이온 교환과 친화성 작용을 동시에 이용하여 다양한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합니다. 이를 통해 공정 단계를 줄이고 전체적인 생산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3. 국내 기업의 기술 개발 사례

국내에서는 아미코젠이 바이오의약품 생산용 크로마토그래피 레진을 개발하여 상용화한 사례가 있습니다. 이는 해외 의존도가 높은 바이오 공정 원부자재 시장에서 국산화에 성공한 의미 있는 성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기술 개발은 국내 바이오 산업의 자생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결론

바이오공정에서 크로마토그래피 레진은 단순한 정제 도구를 넘어, 제품의 품질과 공정의 경제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다양한 레진의 원리와 특성을 이해하고, 표적 물질의 특성 및 공정 요구사항에 맞춰 최적의 레진을 선택하는 것은 바이오의약품 개발의 성공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혼합 모드 레진과 같은 혁신적인 제품들이 지속적으로 등장하며, 앞으로의 바이오 공정은 더욱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진화할 것입니다. 이러한 동향을 주시하고 끊임없이 학습하는 것이 바이오 전문가로서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길입니다.

핫 토픽

PUPSIT : FDA 최신 규제 동향, 무균 공정의 새로운 표준을 향한 길

필터 무결성 시험 (Filter Integrity Test) 심층 분석, 종류와 특징 비교

TFF 필터 멤브레인 보관 방법 및 조건 총정리

바이오의약품 품질 보증의 핵심: PUPSIT과 Flaw Masking

바이오 공정에서의 AI 활용, 디지털 기술이 바꾸는 바이오 산업

PDA의 오염 관리 전략(Contamination Control Strategy, CCS) 완벽 해부

바이오 공정에서 CIP란? – 개념부터 적용까지 완벽 정리

PAT, Process Analytical Technology : 공정 분석 기술과 바이오리액터 센서

바이오 공정의 핵심, 클라리피케이션 POD 뎁스 필터 시료 회수 전략 비교 분석

AI 공정 최적화 사례 3가지|제약 공정 수율 개선부터 배치 예측, 스마트 생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