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업데이트

SIP(Steam In Place)란 무엇인가? - 핵심원리 및 사례 분석

이미지
  SIP(Steam In Place)란 무엇인가? - 핵심원리 및 사례 분석 바이오의약품 생산에서 SIP(Steam in Place)는 단순한 공정이 아닌, 제품의 무균성(Sterility)을 보증하는 핵심 기술이자 규제 준수의 필수 요건입니다. 바이오리액터(Bioreactor), 배관, 밸브 등 복잡하고 거대한 설비를 해체하지 않고, 고온의 포화 증기를 이용하여 내부를 완벽하게 멸균하는 SIP는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를 준수하는 모든 무균 생산 공정의 출발점입니다. 이 글에서는 SIP의 기본 원리를 넘어, 성공적인 공정을 위한 핵심 파라미터, 엄격한 밸리데이션 절차, 그리고 최신 기술 동향까지 심층적으로 다루어 바이오 공정 전문가의 시각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SIP의 과학적 원리와 성공 조건 SIP는 열에 의한 미생물 사멸 원리인 습열 멸균(Moist Heat Sterilization)을 이용합니다. 습열은 건열(Dry Heat)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미생물을 사멸시키는데, 이는 증기(Vapor)가 응축하면서 방출하는 잠열(Latent Heat) 덕분입니다. 증기는 100℃에서 액체로 변하면서 막대한 양의 에너지를 방출하고, 이 에너지가 미생물 단백질을 순식간에 변성시켜 사멸시킵니다. 성공적인 SIP를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 핵심 파라미터가 완벽하게 제어되어야 합니다. 온도(Temperature): 멸균의 핵심은 특정 온도를 달성하고 유지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121.1℃에서 15분 이상 유지하는 것이 표준이지만, 125℃나 130℃와 같은 더 높은 온도를 사용하여 멸균 시간을 단축하기도 합니다. 압력(Pressure): 증기의 압력은 온도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순수한 물의 증기는 101.3 kPa(1기압)에서 100℃의 온도를 가지며, 압력이 높아질수록 끓는점도 상승하여 더 높은 온도의 증기를 얻을 수 있습니다. SIP 공정에서는 증기의 압력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

바이오의약품 품질 보증의 핵심: PUPSIT과 Flaw Masking

 

바이오의약품 품질 보증의 핵심: PUPSIT과 Flaw Masking

바이오 공정의 최전선에서 일하는 전문가로서, 우리는 늘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약품을 전달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합니다. 그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가 바로 멸균 여과(Sterilizing Filtration)입니다. 최종 의약품이 무균 상태임을 보장하는 이 과정은 제품의 품질과 환자의 안전을 직접적으로 좌우합니다. 하지만 이 멸균 여과 과정에 숨겨진 복잡한 문제, 바로 "Flaw Masking" 현상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PUPSIT"에 대해 얼마나 깊이 이해하고 계신가요?



Flaw Masking 현상이란?

Flaw masking, 즉 결함 은폐 현상은 바이오의약품 제조 공정에서 멸균 필터의 미세한 결함이 제품 성분에 의해 가려져, 사후 무결성 시험(Post-Use Integrity Test)에서 결함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한 이론적 가설이 아닌, 실제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입니다. 필터에 미세한 구멍이나 손상이 있을 경우, 여과 과정에서 의약품 내의 단백질, 세포 잔해, 또는 다른 불순물들이 이 결함을 막아버릴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막힌 결함은 여과가 끝난 후 수행하는 무결성 시험에서 정상적인 필터처럼 보이게 만들어, 실제로는 결함이 있는 필터가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통과' 판정을 받게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고농도의 단백질 용액이나 점성이 높은 유체를 여과할 때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Flaw masking은 결국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의약품이 최종 제품으로 출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위험을 초래합니다. 이는 단순히 품질 관리의 실패를 넘어,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입니다.

Flaw Masking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PUPSIT

이러한 Flaw masking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제약업계에서 도입하고 있는 것이 바로 PUPSIT(Pre-Use Post-Sterilization Integrity Testing), 즉 '사용 전, 멸균 후 무결성 시험'입니다. PUPSIT는 최종 여과 공정에 제품을 투입하기 전에, 필터가 멸균된 상태에서 그 무결성을 미리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PUPSIT의 원리 및 과정

  1. 필터 조립 및 멸균: 멸균 등급 필터가 생산 라인에 설치되고, 스팀이나 감마선 등을 통해 멸균됩니다.

  2. 습윤화 및 무결성 시험: 멸균된 필터에 순수한 물과 같은 습윤 용액을 통과시켜 필터의 기공을 채웁니다. 이후 버블 포인트(Bubble Point) 테스트나 확산 유량(Diffusive Flow) 테스트와 같은 무결성 시험을 수행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아직 의약품 용액이 필터에 닿지 않았으므로, Flaw masking 현상이 일어날 수 없습니다.

  3. 결함 발견 시 조치: 만약 이 테스트에서 필터가 불합격 판정을 받으면, 해당 필터는 즉시 교체되어 오염된 제품이 생산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합니다.

  4. 본격적인 여과: PUPSIT를 통과한 필터만을 사용하여 최종 의약품 여과를 진행합니다.

이러한 PUPSIT는 EU GMP Annex 1과 같은 국제 규제 기관에서 멸균 의약품 제조에 대한 필수적인 요구사항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제조사는 제품의 무균성을 이중으로 확인하고, 잠재적인 Flaw masking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와 연구 동향

Flaw masking 현상에 대한 학계와 산업계의 연구는 끊임없이 이어져 왔습니다. 미국의 Parenteral Drug Association (PDA)와 BioPhorum Operations Group (BPOG)과 같은 주요 단체들은 공동 연구를 통해 이 현상의 실제 발생 가능성과 영향에 대해 심도 있는 평가를 진행했습니다. 이 연구들은 Flaw masking이 극히 드물게 발생하지만, 특정 공정 조건, 예를 들어 높은 불순물 농도나 심한 막힘(Fouling)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연구 그룹주요 연구 결과시사점
PDA/BPOG 협력특정 고농도 단백질 용액 환경에서 인위적으로 결함을 만든 필터를 사용한 결과, Flaw masking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 그러나 일반적인 제조 조건에서는 그 발생 확률이 매우 낮다고 결론.모든 공정에 일률적으로 PUPSIT를 적용하기보다, 각 공정의 특성을 고려한 과학적이고 위험 기반의 접근(Risk-Based Approach)이 필요함을 제시.
Merck Life Science (Merck Millipore)여러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PUPSIT의 복잡성과 그로 인한 공정상 위험 증가 가능성을 지적. 그럼에도 불구하고, 엄격한 규제가 적용되는 유럽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제품에는 PUPSIT가 필수적임을 강조.PUPSIT 도입 시, 공정의 복잡성 증가로 인한 오염 위험과 Flaw masking 방지라는 긍정적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
SartoriusPUPSIT에 최적화된 단일 사용(Single-Use) 필터 시스템을 개발하여, 복잡한 설치 과정을 간소화하고 오퍼레이터의 실수를 최소화하는 솔루션을 제공.기술 발전이 규제 준수와 공정 효율성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줌.

이처럼 글로벌 바이오 기업들은 Flaw masking에 대한 위험 평가를 기반으로, 각자의 상황에 맞는 품질 관리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 시장만을 목표로 하는 기업들은 FDA의 지침에 따라 PUPSIT를 의무적으로 시행하지 않지만, 유럽 시장에 진출하는 기업들은 EU GMP Annex 1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PUPSIT를 필수적으로 수행합니다.

결론: 품질 관리를 넘어선 공정 최적화

Flaw masking과 PUPSIT 논쟁은 단순한 품질 관리 문제를 넘어, 바이오 공정 전체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어떻게 균형 있게 가져갈 것인가에 대한 중요한 화두를 던져줍니다. PUPSIT는 분명히 Flaw masking이라는 잠재적 위험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추가적인 시간, 비용, 그리고 공정의 복잡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바이오 공정 전문가로서 우리는 규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것을 넘어, 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공정에 가장 적합한 위험 관리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단순히 규정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왜 그 규정이 필요한지 깊이 이해하고, Flaw masking과 같은 숨겨진 위험을 선제적으로 파악하며, PUPSIT와 같은 기술적 해결책을 공정 전체의 효율성 관점에서 최적화하는 통찰력이 필요합니다.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바이오 공정 최적화이며, 궁극적으로 환자 안전과 기업의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하는 길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바이오 공정에서의 AI 활용, 디지털 기술이 바꾸는 바이오 산업

PUPSIT : FDA 최신 규제 동향, 무균 공정의 새로운 표준을 향한 길

Clarification 필터 선택 가이드: 바이오 공정의 핵심 단계

PDA의 오염 관리 전략(Contamination Control Strategy, CCS) 완벽 해부

바이오 공정에서 CIP란? – 개념부터 적용까지 완벽 정리

단백질 정제 TFF 필터 선택 기준: MWCO 및 막 재질 비교

AI 공정 최적화 사례 3가지|제약 공정 수율 개선부터 배치 예측, 스마트 생산까지

바이오공정의 핵심, 무균 커넥터: 개념부터 실제 적용 사례까지 완벽 분석

위고비 (Wegovy)? 삭센다 (Saxenda)? 바이오 공정 전문가가 바라본 비만 치료제 비교 분석

바이오공정의 핵심, 크로마토그래피 레진(Chromatography Resin)의 모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