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공정의 숨겨진 위험, E&L(Extractables & Leachables) 완벽 분석
바이오공정의 숨겨진 위험, E&L(Extractables & Leachables) 완벽 분석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생산 공정에서 '환자 안전'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최우선 가치입니다. 최근 바이오산업의 급성장과 함께 일회용(Single-Use) 시스템의 도입이 확대되면서, 바이오공정 중 의약품에 유입될 수 있는 미량의 불순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바로 Extractables & Leachables (E&L), 즉 추출물 및 용출물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 글에서는 바이오공정 전문가의 시각에서 E&L의 정의부터 규제 동향, 그리고 효과적인 관리 전략까지 심층적으로 다루고자 합니다.
1. Extractables와 Leachables, 정확히 무엇인가?
E&L은 바이오 의약품의 품질과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불순물입니다. 두 용어는 종종 혼용되지만, 엄밀히 말하면 서로 다른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Extractables (추출물): 의약품과 접촉하는 물질(예: 플라스틱 용기, 필터, 튜빙 등)을 실제 공정 조건보다 훨씬 가혹한 조건(고온, 강한 용매 등)에서 추출했을 때 나오는 화학물질을 의미합니다. 이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해당 물질에서 나올 수 있는 모든 잠재적인 불순물을 파악하는 목적을 가집니다.
Leachables (용출물): 실제 바이오공정 및 의약품 보관 조건 하에서 의약품으로 용출되어 들어가는 화학물질을 의미합니다. 즉, 최종 제품에 실제로 존재하는 불순물입니다. 용출물은 추출물의 부분 집합(subset)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간단한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정의 | 조건 | 목적 |
Extractables (추출물) | 가혹한 조건에서 용기/부품에서 나오는 잠재적 화학물질 | 가혹 조건 (고온, 강한 용매) | 잠재적 용출물 예측 및 재료 평가 |
Leachables (용출물) | 실제 공정 조건에서 의약품으로 유입되는 화학물질 | 실제 공정 및 보관 조건 | 최종 의약품의 안전성 및 품질 평가 |
2. 왜 바이오공정에서 E&L이 중요한가?
E&L은 단순한 불순물 문제가 아닙니다. 환자의 안전과 직결되며, 의약품의 유효성과 안정성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환자 안전성 위협: 용출된 화학물질이 독성, 발암성, 또는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09년 미국에서 타이레놀 제품에서 악취가 나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조사 결과 포장재에서 유래한 2,4,6-트리브로모아니솔(TBA)이 원인으로 밝혀지며 E&L의 중요성이 부각된 바 있습니다.
제품 유효성 및 안정성 저하: 용출물이 바이오의약품의 활성 성분(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 API)과 반응하여 단백질의 구조를 변형시키거나 응집(aggregation)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약효를 감소시키고, 제품의 장기 보관 안정성을 떨어뜨립니다.
세포 배양 공정 성능 저하: 특히 일회용 생물반응기(Single-Use Bioreactor)를 사용하는 세포 배양 공정에서, 용출물이 세포의 생존율(cell viability)이나 생산성(productivity)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정 첨가제나 분해물이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사례가 보고되기도 했습니다.
3. E&L 분석, 바이오공정의 필수 과정
E&L 평가는 바이오의약품 개발의 초기 단계부터 완제품 출시까지 전 과정에 걸쳐 이루어져야 합니다. 효과적인 E&L 평가를 위한 단계별 접근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3.1. 위험 기반 접근법 (Risk-based approach)
모든 공정 부품에 대해 동일한 수준의 E&L 평가를 수행하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따라서 의약품과 접촉하는 시간, 온도, 표면적 등 공정 조건을 고려하여 위험도가 높은 부품을 우선적으로 평가하는 '위험 기반 접근법'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최종 제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필터, 튜빙, 저장 용기 등이 주요 평가 대상이 됩니다.
3.2. 분석 방법론
E&L 분석은 다양한 분석 기술을 복합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용출물의 종류는 휘발성, 준휘발성, 비휘발성 유기물 및 무기물 등으로 매우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헤드스페이스-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Headspace GC-MS)
준휘발성 유기화합물 (Semi-Volatile Organic Compounds, SVOCs):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GC-MS)
비휘발성 유기화합물 (Non-Volatile Organic Compounds, NVOCs):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HPLC-MS)
무기 화합물 (Inorganic Compounds): 유도결합플라즈마-질량분석법 (ICP-MS)
이러한 분석을 통해 발견된 용출물들은 독성학적 평가를 거쳐 안전성 기준(예: AET, Analytical Evaluation Threshold)을 충족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4. 규제 동향 및 실제 사례
국내외 규제기관들은 E&L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유럽의약품청(EMA)을 비롯하여 국제조화회의(ICH)에서도 관련 가이드라인(ICH Q3E)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특히, USP(United States Pharmacopeia)에서는 플라스틱 재료에 대한 일반 시험법(General Chapters)을 통해 E&L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실제 사례: 일회용 백(Single-Use Bag) 문제
바이오공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회용 백은 필름 재료에 따라 E&L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0년대 초반, 특정 필름으로 제작된 일회용 백에서 산화방지제(Antioxidant)인 BHT (Butylated hydroxytoluene)의 분해물인 2,4-Di-tert-butylphenol (2,4-DTBP)이 용출되어 세포 성장을 저해하는 사례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이는 일회용 시스템의 도입 시 재료의 선택과 E&L 평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출처: ACS Publications, Analytical Chemistry, 2018)
5. 결론: 바이오공정의 신뢰를 위한 필수 요소
E&L은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바이오공정의 핵심 관리 요소입니다. 단순한 규제 준수를 넘어, 환자 안전과 의약품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근본적인 접근입니다. 바이오의약품 제조사들은 일회용 시스템 및 용기 포장재의 선정 단계부터 E&L 위험을 철저히 평가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공정의 견고성(robustness)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신뢰받는 바이오의약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입니다.
키워드: E&L, 추출물, 용출물, 바이오공정, 일회용 시스템, 환자 안전, 의약품 품질, 규제, Extractables, Leachables, Single-Use, Bioprocessing, GMP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