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업데이트

TFF 멤브레인 플러싱(Flushing)의 모든 것

이미지
  TFF 멤브레인 플러싱(Flushing)의 모든 것 바이오 공정에서 단백질, 항체, 바이러스와 같은 생물학적 물질을 농축하고 정제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 중 하나는 바로 TFF(Tangential Flow Filtration)입니다. 이 공정의 핵심은 멤브레인이며, 멤브레인이 최적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플러싱(Flushing)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플러싱은 단순히 멤브레인을 세척하는 것을 넘어, 공정의 효율성, 생산성, 그리고 재현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TFF 멤브레인의 플러싱 조건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루고,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사례와 함께 최적의 플러싱 전략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TFF 멤브레인 플러싱의 중요성 TFF 공정에서 멤브레인은 분자량, 크기 또는 전하에 따라 물질을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멤브레인 표면에는 목표 물질이나 불순물들이 쌓여 ‘파울링(Fouling)’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멤브레인의 투과 유량(Permeate Flux)이 감소하고 분리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플러싱은 이러한 파울링을 제거하고 멤브레인을 다음 공정 또는 보관을 위해 준비하는 과정입니다. 효과적인 플러싱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져옵니다. 공정 효율성 증대: 파울링을 제거하여 멤브레인의 투과 유량을 복원하고 공정 시간을 단축합니다. 생산성 향상: 멤브레인의 수명을 연장시켜 재사용 횟수를 늘리고, 소모품 비용을 절감합니다. 공정 재현성 확보: 일관된 멤브레인 성능을 통해 배치 간 품질 편차를 최소화합니다. 안전성 및 규제 준수: 잔류 불순물을 제거하여 최종 제품의 순도를 높이고,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규제를 충족시킵니다. TFF 멤브레인 플러싱의 기본 원리 플러싱은 크게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진행됩니다. 첫 번째는 공정 간에 멤브레인 내부에 남아있는 물질(단백질, 버퍼 등)을 제거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 ...

고농도 세포 배양 시대, MAb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는 혁신적인 해법: 응집(Flocculation)과 여과(Filtration)

고농도 세포 배양 시대, MAb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는 혁신적인 해법: 응집(Flocculation)과 여과(Filtration)

최근 몇 년간 바이오의약품 산업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며, 특히 항체 의약품(MAb) 생산량 증대를 위한 고밀도 세포 배양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세포 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그만큼 후속 공정인 수확(Harvest) 및 정제(Purification) 단계에서 예상치 못한 병목 현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특히 세포 배양액에서 목적 단백질(MAb)을 분리하는 첫 단계인 세포 제거(Clarification)는 공정 전체의 효율을 좌우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고농도 세포 배양액은 세포 파편과 불순물이 많아 기존의 원심분리나 심층 여과만으로는 충분한 세포 제거 효율을 얻기 어렵습니다. 필터 막힘 현상은 생산성 저하와 비용 증가로 직결되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 바로 응집(Flocculation)과 여과(Filtration)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공정입니다.

응집(Flocculation)의 과학: 미세 입자를 덩어리로 뭉치는 기술

응집은 콜로이드 상태의 미세 입자들이 서로 뭉쳐 침전되거나 여과하기 쉬운 크고 무거운 덩어리(Floc)를 형성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바이오 공정에서는 주로 양이온성 응집제(Cationic Flocculants)를 사용하여 세포와 세포 파편의 표면 전하를 중화시키고, 이들이 서로 엉겨 붙도록 유도합니다.

고농도 세포 배양액의 불순물은 대부분 음전하를 띠고 있습니다. 여기에 양전하를 띠는 응집제,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poly-DADMAC)나 키토산(chitosan) 같은 물질을 첨가하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불순물 입자들이 서로 결합하게 됩니다. 마치 자석이 쇠붙이를 끌어당기듯 말이죠. 이렇게 생성된 플록은 기존의 미세 입자보다 크기가 훨씬 커져서 후속 여과 단계에서 필터의 부하를 현저히 줄여줍니다.

응집제 선택의 중요성

응집제를 선택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 효과: 소량으로도 뛰어난 응집 효과를 보여야 합니다.

  • 안전성: 목적 단백질(MAb)에 영향을 주지 않고, 독성이 없어야 합니다.

  • 경제성: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폴리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poly-DADMAC)는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효과가 좋아 많이 사용되는 응집제 중 하나입니다. 또한 천연 유래 물질인 키토산은 생체 적합성이 높아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응집-심층여과(Flocculation-Depth Filtration) 공정의 시너지 효과

응집 공정은 그 자체로도 효과적이지만, 심층여과(Depth Filtration)와 결합했을 때 진정한 시너지를 발휘합니다. 심층여과는 여러 층의 여과 매체로 이루어져 있어, 필터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에서도 불순물을 포획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막 여과(Membrane Filtration)가 주로 표면에서 거르는 것과는 대조적이죠.

응집 공정을 거친 후, 크고 뭉쳐진 플록은 심층 여과 필터의 표면에서 쉽게 걸러지며, 미처 뭉치지 못한 미세 입자들은 필터의 깊은 층으로 들어가 포획됩니다. 이 덕분에 필터 막힘 현상이 크게 줄어들고, 필터 수명이 연장되며, 공정 처리량이 늘어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MAb 수확 효율 극대화의 핵심, 하이브리드 공정은 특히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1. 필터 막힘 현상 감소: 응집을 통해 불순물 입자 크기를 키워 심층 여과 필터의 부하를 줄여줍니다.

  2. 공정 처리량 증대: 필터 수명이 길어지고 막힘 현상이 줄어들어, 단위 시간당 처리할 수 있는 배양액의 양이 늘어납니다.

  3. 수율 향상: MAb가 플록에 포획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불순물 제거 효율을 높여, 최종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4. 후속 공정 효율 개선: 불순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된 배양액은 프로틴 A 크로마토그래피(Protein A Chromatography)와 같은 정제 공정의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MAb 생산의 미래를 위한 필수 전략

고농도 세포 배양 기술의 발전은 바이오의약품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였지만, 동시에 후속 공정의 도전을 불러왔습니다. 응집(Flocculation)과 심층여과(Depth Filtration)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공정은 이러한 도전에 대한 효과적인 해답을 제시합니다. MAb 수확 효율을 극대화하고, 공정 비용을 절감하며, 최종 제품의 품질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이 기술은 바이오의약품 생산의 미래를 위한 필수 전략으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바이오 공정의 혁신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다음번에는 또 다른 흥미로운 바이오 공정 기술에 대해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누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제와 관련된 글]

Clarification 필터 선택 가이드: 바이오 공정의 핵심 단계

바이오공정의 필수 관문, 박테리아 제거 시험 (Bacterial Retention Test) 완벽 해부

핫 토픽

PUPSIT : FDA 최신 규제 동향, 무균 공정의 새로운 표준을 향한 길

필터 무결성 시험 (Filter Integrity Test) 심층 분석, 종류와 특징 비교

TFF 필터 멤브레인 보관 방법 및 조건 총정리

바이오의약품 품질 보증의 핵심: PUPSIT과 Flaw Masking

바이오 공정에서의 AI 활용, 디지털 기술이 바꾸는 바이오 산업

PDA의 오염 관리 전략(Contamination Control Strategy, CCS) 완벽 해부

바이오 공정에서 CIP란? – 개념부터 적용까지 완벽 정리

PAT, Process Analytical Technology : 공정 분석 기술과 바이오리액터 센서

바이오 공정의 핵심, 클라리피케이션 POD 뎁스 필터 시료 회수 전략 비교 분석

AI 공정 최적화 사례 3가지|제약 공정 수율 개선부터 배치 예측, 스마트 생산까지